주식 투자는 종목 선택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이 콘텐츠에서는 차량용 반도체 관련주 및 대장주와 테마주를 정리하고, 시장에서 위치, 그리고 향후 전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성공 투자의 법칙을 공부하며 내일의 급등주를 내 계좌에서 맞볼 수 있는 주식 종목을 찾아보자.
최근 차량용 반도체 관련주는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등 첨단 자동차 기술 발전으로 수요가 증가하면서 주목받고 있다.
현대자동차는 국내 팹리스 기업들과 협력해 차량용 반도체 국산화를 추진 중이며, 삼성전자는 현대차와 엔비디아로부터 차량용 반도체 생산을 수주하며 파운드리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차량용 반도체 산업의 성장과 관련 기업들의 실적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특정 이슈가 사회적으로 화두가 되거나, 산업 동향이 변하면 이에 따라 특정 주식들의 가치가 변하기 마련이다.
초보자도 주식으로 수익을 내고 싶다면 공부가 우선이다. 그럼 함께 상승할 테마 찾기도 수월해질 것이다.
아직도 수익 내는 주식 종목 선정에 고민이라면 [차량용 반도체] 관련주 테마와 이슈에 얽힌 종목도 아래에서 무료로 확인하길 추천한다.
반도체 관련 주식 테마 더보기:
시스템 반도체 | 메모리 반도체 | AI 반도체 | 온디바이스 AI | NPU | CXL | HBM | 액침냉각 | 유리기판 | 장비 | 소재/부품 | 전공정 | 클린룸 | 후공정 | 생산 | 설계(팹리스) | DDR5 | 차량용반도체 | EUV | FC-BGA | EUV | FC BGA | TSMC | 뉴로모픽 | 엔비디아
차량용 반도체 개요 및 분석
차량용 반도체는 자동차의 전자 시스템과 전장 부품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부품으로, 엔진 제어, 전력 관리, 자율주행, 통신, 인포테인먼트 등 다양한 기능에 사용된다.
전기차와 자율주행차의 도입이 가속화되면서 차량당 반도체 사용량이 증가해 시장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주요 기술과 제품군
- 전력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관리와 에너지 효율성을 지원하는 핵심 부품.
- 자율주행 SoC(System on Chip): 자율주행차의 센서 데이터 처리와 AI 연산을 담당.
- 센서: 카메라, 라이다(LiDAR), 레이더 등 자율주행 기능과 차량 주변 감지를 지원.
- 통신 반도체: 차량 간 통신(V2X)과 5G 네트워크 지원을 위한 부품.
차량용 반도체 관련주 및 대장주, 테마주 특징
차량용 반도체 관련주 테마 호재 및 이슈
1.전력 반도체, 자율주행용 SoC, 센서 등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가진 기업
2.자동차 제조사와의 협력 관계가 안정적인 기업
3.관련 정책 지원과 시장 확대 상황 확인
4.생산 능력이 안정적인 기업
5.차량용 반도체 국산화를 추진하고 있어 국내 팹리스 및 파운드리 업체와의 협력
6.국제 표준화와 규제 요건을 충족하는 기술력 보유 기업
7.원자재 가격 상승이나 반도체 공급 과잉은 가격 변동성을 초래
시장 현황
- 수요 증가: 전기차와 자율주행차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차량용 반도체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 주요 플레이어: 글로벌 시장은 인피니언, NXP, 르네사스, 텍사스인스트루먼트 등이 주도하고 있으며,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 등 국내 기업들도 차량용 반도체 국산화에 힘쓰고 있다.
- 공급망 문제: 차량용 반도체는 글로벌 반도체 공급 부족 현상의 큰 영향을 받아왔다. 생산 차질과 수급 불안정은 시장의 주요 과제로 남아 있다.
시장 전망
- 성장률: 차량용 반도체 시장은 연평균 성장률(CAGR) 약 12%로, 2028년까지 약 850억 달러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도입: 전기차 보급이 가속화되고 자율주행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차량용 반도체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 AI와 고성능 컴퓨팅: 인공지능 기술과 고성능 연산이 가능한 차량용 반도체 수요가 증가해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의 시장 재편이 예상된다.
관련주나 테마주는 시장 변동성에 민감하다. 특정 이슈나 산업 동향에 따라 주식 가치가 급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트렌드를 이해하고 빠르게 반응해서 괜찮은 주식 종목에 투자하면 큰 수익을 볼 수도 있다.
차량용 반도체 관련주 콘텐츠를 끝까지 읽고 수익내는 주식 종목 정보를 얻어가기를 바란다.
아래의 목차 가이드를 사용하여 원하는 주식 종목을 따라 이동해서 볼 수 있다.
1. 텔레칩스 (KOSDAQ:054450) – 대장주
1. 기업 개요
첫 번째 차량용 반도체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텔레칩스’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ADAS용 반도체 설계·개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IVI)과 디지털 계기판용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를 설계·개발하는 팹리스 반도체 기업이다.
자율주행차에 필요한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용 반도체와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능을 지원하는 솔루션도 제공하며, 국내외 주요 자동차 제조사와 협력하고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 매출구성 |
DMP | 85.79% |
Mobile TV 수신칩 | 1.66% |
기타 | 12.55% |
2023년 매출은 1,910.9억 원으로 전년 대비 27.1% 증가했다. 차량용 반도체 부문의 수요 증가와 신규 고객사 확보가 매출 성장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다만 현대자동차에 대한 매출 비중이 높아 고객 다변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2023년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82.8% 증가하며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
차량용 반도체 수요 확대와 신제품 출시가 실적 성장에 기여하고 있으며, 고정비 감소로 이익률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글로벌 차량용 반도체 시장의 경쟁 심화와 고객사 의존도가 주요 리스크로 꼽힌다.
2. 테크윙 (KOSDAQ:089030)
1. 기업 개요
두 번째 차량용 반도체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테크윙’이다.
차량용 반도체 검사 및 품질 관리에 필수적인 테스트 핸들러 생산
2002년 설립된 반도체 후공정 장비 전문 기업으로, 메모리 테스트 핸들러와 칩 교체 장비(C.O.K), 반도체 검사 장비 관련 부품을 개발하고 판매한다.
메모리 테스트 핸들러 분야에서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주요 고객사로 마이크론, SK하이닉스, 키옥시아 등을 두고 있다.
차량용 반도체 생산에도 관련 장비를 공급하며 입지를 다지고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 매출구성 |
테스트 핸들러 등 | 43.68% |
C.O.K | 28.34% |
OLED/LCD광 검사장비 | 9.81% |
기타 | 18.17% |
2024년 1분기 매출은 669억 원, 영업이익은 142억 원으로 시장 예상을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했다.
주력 상품인 메모리 핸들러와 고부가가치 상품인 C.O.K 매출 증가가 실적을 견인했으며, 북미 메모리 고객사의 투자 확대와 함께 핸들러 매출이 전 분기 대비 25% 증가했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메모리 및 차량용 반도체 수요 증가와 함께 반도체 검사 장비 시장에서 성장성을 유지하고 있다.
기관과 외국인 투자자들이 지속적으로 매수하고 있으며, 향후 DDR5 및 차량용 반도체 확대에 따른 수혜가 기대된다.
글로벌 고객사의 투자 증가와 기술력 강화를 바탕으로 장기적인 매출 성장 가능성이 높다.
3. 유니트론텍 (KOSDAQ:142210)
1. 기업 개요
세 번째 차량용 반도체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유니트론텍’이다.
전장용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솔루션 제공
1996년 설립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유통 전문 기업으로, 차량용 반도체 솔루션을 제공한다.
주요 사업으로 메모리 및 비메모리 반도체, 전장용 디스플레이 모듈 등의 유통을 담당하며, 종속회사로는 동일 사업을 영위하는 오스코와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개발·제조하는 토르드라이브를 보유하고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 매출구성 |
반도체 | 66.68% |
디스플레이 | 33.14% |
기타 | 0.18% |
2024년 9월 기준 연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8.9% 증가했다.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부문 매출이 모두 성장했으며, 특히 전장용 반도체 매출 증가가 실적 개선에 기여했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수요 증가로 매출 성장은 이어지고 있으나, 비용 증가로 인해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소폭 감소한 상황이다.
자율주행 및 AI 로보틱스 관련 정부 과제를 수주하며 이 분야에서의 추가 성장 가능성이 기대되고 있다.
전장용 반도체 수요 증가와 함께 주가도 중장기적으로 긍정적인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4. 앤씨앤 (KOSDAQ:092600)
1. 기업 개요
네 번째 차량용 반도체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앤씨앤’이다.
차량용 블랙박스 및 영상처리 반도체 제조·판매
1997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차량용 블랙박스 및 영상처리 반도체 전문 기업이다.
주요 사업으로는 자동차용 운행영상기록장치(블랙박스)와 영상처리용 시스템 반도체의 제조 및 판매가 있다.
2019년 자동차 사업 부문을 물적분할하여 넥스트칩을 설립하고, 자회사 앤커넥스를 흡수합병하여 현재의 앤씨앤으로 출범하였다.
운전자 및 보행자 안전을 위한 ADAS, 코너비전, BSD, DMS, 서라운드뷰 모니터 시스템 등의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 매출구성 |
차량용블랙박스 사업부문 | 96.16% |
영상처리칩 사업부문 | 3.84% |
2024년 9월 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6.7% 증가하였다. 이는 차량용 블랙박스 매출 증가와 인건비 등 절감 노력이 주효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기순손실은 13% 증가하여 재무구조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차량용 블랙박스와 ADAS 관련 제품 매출 증가로 영업손실 폭은 감소하고 있다.
특히 다수의 신제품 출시 계획과 해외 시장 확장 전략이 실적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재무구조 개선과 원가 관리가 필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차량용 반도체 수요 증가와 맞물려 중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이 높게 평가되고 있다.
5. 해성디에스 (KOSPI:195870)
1. 기업 개요
다섯 번째 차량용 반도체 관련주는 코스피 주식 종목 ‘해성디에스’다.
차량용 반도체 핵심 부품인 리드 프레임 생산
2014년 삼성테크윈의 반도체 리드 프레임 사업부에서 독립해 해성그룹에 편입된 반도체 부품 전문 기업이다.
주요 제품으로는 반도체 리드 프레임과 패키지 서브스트레이트가 있으며, 리드 프레임 부문에서 글로벌 시장 점유율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주요 고객사로는 인피니언, NXP,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등 글로벌 차량용 반도체 기업들이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 매출구성 |
리드프레임 | 70.02% |
Package Substrate | 29.98% |
매출은 리드 프레임이 약 64.7%, 패키지 서브스트레이트가 35.3%를 차지한다.
리드 프레임 부문은 차량용 반도체 수요 증가로 매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패키지 서브스트레이트는 DDR5 등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시장 성장에 따라 매출 확대가 기대된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차량용 반도체 시장의 성장과 함께 안정적인 매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전기차 및 자율주행차의 확산으로 차량당 반도체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리드 프레임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이는 해성디에스의 실적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패키지 서브스트레이트 부문에서는 DDR5 등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의 수요 증가로 매출 확대가 기대된다.
그러나 원자재인 구리 가격 변동에 따른 수익성 변동 가능성은 주의가 필요하다.
6. LX세미콘(KOSPI:108320)
1. 기업 개요
여섯 번째 차량용 반도체 관련주는 코스피 주식 종목 ‘LX세미콘’이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반도체 개발과 텔레칩스 지분 인수
2000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팹리스 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으로, 주로 디스플레이 구동칩(DDI)을 설계·판매한다.
국내 팹리스 기업 중 매출 1위를 기록하며, 글로벌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도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 차량용 반도체 시장 진출을 위해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시스템 반도체를 개발하고, 차량용 반도체 기업 텔레칩스의 지분을 인수하는 등 사업 다각화에 나섰다.
2. 매출
주요제품 | 매출구성 |
System IC | 100.00% |
2024년 기준, 매출액은 4,199억 원으로 전 분기 대비 1.7% 증가했으나, 전년 동기 대비로는 13.4% 감소했다.
디스플레이 시장의 수요 변동이 영향을 미쳤으며, 대형 LCD 패널 수요 감소가 매출 감소의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그러나 OLED 패널과 차량용 반도체 부문에서의 매출 비중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디스플레이 시장의 변동성에도 OLED와 차량용 반도체 부문에서 꾸준한 성장을 기록 중이다.
특히,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확대에 따른 차량용 반도체 수요 증가로 중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이 기대된다.
다만, 디스플레이 패널 시장의 불확실성과 글로벌 경제 상황 변화는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차량용 반도체로의 사업 확장이 주가 상승의 주요 동력이 될 전망이다.
7. 유니퀘스트 (KOSPI:077500)
1. 기업 개요
일곱 번째 차량용 반도체 관련주는 코스피 주식 종목 ‘유니퀘스트’다.
자회사 에이아이매틱스를 통해 ADAS 솔루션을 공급, AI 카메라와 차량 관제 시스템 사업
1993년 설립된 반도체 솔루션 공급업체로, 비메모리 반도체 유통과 관련 솔루션 제공을 주요 사업으로 한다.
엔비디아 젯슨 모듈의 독점 공급권을 보유하며 AI 및 로보틱스 시장에서도 강점을 보이고 있다.
자회사 에이아이매틱스를 통해 ADAS(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솔루션을 공급하며 차량용 반도체 시장과 관련된 사업도 진행 중이다.
2. 매출
주요제품 | 매출구성 |
반도체 유통 | 99.85% |
사옥임대 | 0.15% |
2024년 3분기 누적 연결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6.2% 증가하였으나, 영업이익은 5.3% 감소하고 당기순이익은 28.9% 감소하였다.
이는 반도체 유통 부문의 매출 반등에도 불구하고 원가율 상승과 부동산 개발 종속회사의 적자, 이자비용 증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반도체 유통 부문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지만, 원가 상승과 부동산 개발 관련 손실로 수익성 개선에 제약이 있었다.
하지만 AI와 로보틱스 시장 성장에 따른 엔비디아 젯슨 모듈 수요 증가와 차량용 반도체 시장 확대가 중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자사주 소각 등 주주가치 제고 노력이 주가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8. 아이에이(KOSDAQ:038880)
1. 기업 개요
여덟 번째 차량용 반도체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아이에이’다.
자동차 전장용 반도체와 모듈 설계·생산
1993년 설립된 비메모리 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으로, 자동차 전장 분야를 중심으로 반도체와 모듈, 제어기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제품은 고전력 모듈(HPM), IBS 모듈, 방송 모듈, 시트 반도체 등이 있으며, 완성차 제조사 및 전장 부품업체와 협력 관계를 확대하고 있다.
중국 시장 공략을 위해 합자회사 설립 등으로 시장 다변화를 추진 중이다.
2. 매출
주요제품 | 매출구성 |
반도체 | 40.71% |
모듈 | 37.84% |
용역 | 20.83% |
기타 | 0.62% |
2024년 9월 기준, 아이에이의 연결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9.9% 감소하였다.
이는 자동차 시장 수요 약화로 인한 실적 부진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또한, 영업손실은 83.5% 증가하였고, 당기순손실은 130.7% 증가하여 영업 적자 폭이 확대되었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자동차 전장용 반도체 및 모듈 공급 확대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최근 자동차 시장의 수요 약화로 인해 실적 부진을 겪고 있다.
특히, 외부 자금 조달 의존도가 심화되어 이자 비용 부담이 높아졌으며, 독자적 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비의 매출액 대비 비중도 낮아지는 추세이다.
다만, 중국 시장에서의 성장 가능성과 거래처 다변화 전략이 장기적인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9. 코아시아 (KOSDAQ:045970)
1. 기업 개요
아홉 번째 차량용 반도체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코아시아’다.
자회사 CoAsia SEMI를 통해 시스템 반도체 디자인 솔루션 제공
1993년 설립된 IT 부품 유통, LED, 카메라 모듈, 광학 렌즈 및 시스템 반도체 사업을 운영하는 기업이다.
자회사 CoAsia SEMI를 통해 시스템 반도체 파운드리 디자인 솔루션을 제공하며,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SAFE DSP(Design Solution Partner)로 공식 선정된 이력이 있다.
시스템 반도체 설계 및 차량용 반도체 관련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 매출구성 |
카메라/렌즈모듈 | 77.02% |
LED | 17.00% |
시스템반도체 | 7.11% |
신기술사업금융 | 0.40% |
기타 | -1.53% |
시스템 반도체 사업 부문은 신규 고객사 확대와 성장세가 두드러졌으며, 2019년 신설 이후 2022년 기준 매출은 300억 원을 돌파했다.
연평균 성장률은 100% 이상을 기록하며 빠르게 확대 중이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시스템 반도체 사업 부문의 지속적인 성장과 더불어 IT 부품 유통, LED, 카메라 모듈 등 기존 사업 부문에서도 안정적인 매출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삼성전자와의 협력 관계를 통해 시스템 반도체 디자인 솔루션 분야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으며, 차량용 반도체 수요 증가에 따른 중장기적인 매출 확대가 전망된다.
다만, 영업손실의 증가와 같은 수익성 지표의 악화는 비용 관리와 수익 구조 개선이 필요한 부분으로 보인다.
10. 폴라리스세원 (KOSDAQ:234100)
1. 기업 개요
열 번째 차량용 반도체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폴라리스세원’이다.
자동차 공조 부품을 생산
1991년 설립된 자동차 공조 부품 전문 기업으로, 합성사 사업부와 화학 사업부를 운영한다.
주요 거래처로는 한온시스템, 덴소(DENSO), 보쉬(BOSCH), 게이츠(GATES) 등이 있으며, 국내외 완성차 업체에 부품을 공급하고 있다.
전기차 및 내연기관차 모두를 대상으로 사업을 확장 중이다.
2. 매출
주요제품 | 매출구성 |
자동차부품 | 43.64% |
합성사사업부 | 37.20% |
F&C 및 IT 사업 | 17.11% |
화학사업부 | 2.04% |
기타 | 0.01% |
2023년 2분기 기준, 매출은 77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3% 감소하였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34억 원으로 50% 감소하였으나, 순이익은 112억 원으로 57.7% 증가하였다.
이는 전기차 부품 수출 증가와 종속회사 편입 효과 덕분이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전기차 부품 수출 증가와 우량 종속회사 편입 효과로 성장했으며, 향후 전기차 시장 성장에 따라 매출 확대가 기대된다.
2025년에는 평화발레오와 합작한 PHC발레오써멀시스템스에 자동차 공조 부품을 초도 공급하며 매출처 다변화를 본격화하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 시장의 변동성 및 원자재 가격 상승이 리스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요약 및 결론
차량용 반도체 관련주식 종목 리스트
- 텔레칩스 (KOSDAQ: 054450) – 대장주
- 테크윙 (KOSDAQ: 089030)
- 유니트론텍 (KOSDAQ: 142210)
- 앤씨앤 (KOSDAQ: 092600)
- 해성디에스 (KOSPI: 195870)
- LX세미콘 (KOSPI: 108320)
- 유니퀘스트 (KOSPI: 077500)
- 아이에이 (KOSDAQ: 038880)
- 코아시아 (KOSDAQ: 045970)
- 폴라리스세원 (KOSDAQ: 234100)
차량용 반도체 관련주식: 대장주 선정 이유
💡텔레칩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시스템과 디지털 계기판용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를 설계·개발하는 국내 대표 팹리스 기업이기 때문이다.
특히, 자율주행차의 핵심 기술인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반도체 설계에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과 협력 관계를 확장하고 있다.
차량용 반도체 시장의 급성장과 더불어 텔레칩스의 기술력이 높은 평가를 받고 있어 대장주로 주목받고 있다.
정책 수혜주 관련 주식 테마 더보기: 청정수소 | 교육 | 원전 | 방산 | 스마트그리드 | 특수영상 클러스터 | 우크라이나 재건 | 우주항공 | 디지털 헬스케어 | 자율주행 | AI 인공지능 | 로봇 | 저PBR 밸류업 프로그램 | 저출산
관련 테마주는 변동성을 보고 단기 차익을 노리는 경우가 많다.
시가총액이 큰 기업보다는 작은 기업이 대부분이다.
뉴스나 이슈 흐름을 보고 시기에 맞게 차량용 반도체 관련주식이나 테마주를 바로 떠올릴 수 있으면 주식으로 큰 수익을 볼 수도 있음을 명심하자.
참고자료
-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05445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
-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08903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
-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14221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
-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09260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
-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19587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
-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10832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
-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07750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
-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03888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
-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04597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
-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23410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