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클린룸 관련주 TOP 10: 테마주 & 대장주

author

모아이

주식 유니버스 편집장

발행:

주식 투자는 종목 선택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이 콘텐츠에서는 반도체 클린룸 관련주 및 대장주와 테마주를 정리하고, 시장에서 위치, 그리고 향후 전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성공 투자의 법칙을 공부하며 내일의 급등주를 내 계좌에서 맞볼 수 있는 주식 종목을 찾아보자.

최근 반도체 클린룸 관련주들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주요 반도체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 계획에 따라 주목받고 있다.

특히 삼성전자는 2027년까지 클린룸 규모를 2021년 대비 7.3배 확대할 방침이며, SK하이닉스도 HBM(고대역폭 메모리) 생산 시설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특정 이슈가 사회적으로 화두가 되거나, 산업 동향이 변하면 이에 따라 특정 주식들의 가치가 변하기 마련이다.

초보자도 주식으로 수익을 내고 싶다면 공부가 우선이다. 그럼 함께 상승할 테마 찾기도 수월해질 것이다.

아직도 수익 내는 주식 종목 선정에 고민이라면 [반도체 클린룸] 관련주 테마와 이슈에 얽힌 종목도 아래에서 무료로 확인하길 추천한다.

반도체 관련 주식 테마 더보기:
시스템 반도체 | 메모리 반도체 | AI 반도체 | 온디바이스 AI | NPU | CXL | HBM | 액침냉각 | 유리기판 | 장비 | 소재/부품 | 전공정 | 클린룸 | 후공정 | 생산 | 설계(팹리스) | DDR5 | 차량용반도체 | EUV | FC-BGA | EUV | FC BGA | TSMC | 뉴로모픽 | 엔비디아
반도체 클린룸 관련주 TOP 10: 테마주 & 대장주

반도체 클린룸 개요 및 분석

반도체 클린룸은 초미세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하며, 먼지, 미세입자, 온도, 습도, 정전기 등을 엄격히 제어하는 환경이다.

반도체 공정에서 불량률을 최소화하고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 클린룸의 설계와 관리가 필수적이다.

클린룸의 역할

  • 미세 공정 지원: 나노미터(nm) 단위의 회로를 구현하기 위해 오염 물질을 완전히 차단.
  • 제품 품질 보장: 불량률 감소와 제조 수율 향상.
  • 고성능 장비 운영: EUV 리소그래피 등 고정밀 장비가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환경 제공.

클린룸의 등급

클린룸은 ISO 표준(ISO 14644-1)에 따라 등급이 나뉘며, 1등급이 가장 청정한 환경을 의미한다.

  • ISO 1~3: 첨단 반도체 제조 공정(3nm 이하 공정).
  • ISO 5~7: 일반 반도체 및 전자 부품 조립.

반도체 클린룸 관련주 및 대장주, 테마주 특징

반도체 클린룸 관련주 테마 호재 및 이슈

1. 초미세 공정을 지원하는 첨단 클린룸 설비와 기술을 보유
2. 삼성전자, TSMC, 인텔 등 주요 반도체 기업의 클린룸 프로젝트 참여
3.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투자 확대와 첨단 공정 도입 속도
4. 에너지 효율적인 클린룸 설비를 제공
5. 반도체 경기 변동성에 대응 가능한 안정적인 매출 구조와 수익성
6. 기술 혁신과 글로벌 진출 전략을 갖춘 기업

글로벌 반도체 클린룸 시장 현황

  • 시장 규모: 2023년 기준, 글로벌 클린룸 시장은 약 60억 달러로 추정.
  • 성장률: 연평균 6~8% 성장 중. 반도체 제조 공정의 첨단화와 공장 증설로 수요 증가.
  • 지역별 동향:
    • 한국: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투자 확대와 함께 관련 업체들의 매출 증가.
    • 대만: TSMC의 대규모 공장 증설로 클린룸 시장 주도.
    • 미국·유럽: 반도체 자립 정책으로 첨단 클린룸 설비 수요 증가.

미래 전망

  1. 첨단 반도체 제조 기술 도입
    • 3nm 이하 공정이 보편화되면서 클린룸 등급(ISO 1~3) 수요가 증가.
    • 고효율 공조 및 초미세 필터 기술의 필요성 증대.
  2. 탄소중립과 친환경 설비
    • 에너지 소비가 높은 클린룸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 개발이 가속화.
    • 친환경 소재 및 시스템이 클린룸 설계의 핵심 트렌드로 부상.
  3. 스마트 클린룸
    • IoT와 AI 기반의 실시간 환경 모니터링 및 관리 기술 도입.
    • 데이터 분석을 통해 생산성 향상과 비용 절감 가능.
  4. 정부 지원 확대
    • 각국 정부의 반도체 산업 지원 정책에 따라 클린룸 관련 기업 수혜 예상.

관련주나 테마주는 시장 변동성에 민감하다. 특정 이슈나 산업 동향에 따라 주식 가치가 급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트렌드를 이해하고 빠르게 반응해서 괜찮은 주식 종목에 투자하면 큰 수익을 볼 수도 있다.

반도체 클린룸 관련주 콘텐츠를 끝까지 읽고 수익내는 주식 종목 정보를 얻어가기를 바란다.

아래의 목차 가이드를 사용하여 원하는 주식 종목을 따라 이동해서 볼 수 있다.

반도체 클린룸 관련주 배너

1. 신성이엔지 (KOSPI:011930) – 대장주

1. 기업 개요

첫 번째 반도체 클린룸 관련주는 코스피 주식 종목 ‘신성이엔지’다.

반도체 제조 공정에 필수적인 클린룸 및 공조시스템을 제조·설치하는 클린환경 사업을 영위

1977년 설립된 신성이엔지는 클린환경(Clean Environment)과 재생에너지(Renewable Energy) 분야에서 활동하는 전문기업이다.

클린환경 사업부문에서는 FFU/EFU, 클린룸 및 공조시스템, 드라이룸 제조와 설치를 영위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 사업부문에서는 태양광 관련 제품과 시스템을 제공한다.

추가로 임대, 용역, 서비스 등 기타 사업부문도 보유하고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매출구성
클린환경 93.09%
재생에너지 6.28%
기타 0.63%

2024년 9월 기준 연결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했다. 이차전지 관련 장비 수요 증가로 헝가리와 폴란드 등 해외 시장에서 매출이 확대되었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2024년 9월 기준 매출액은 증가했으나,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적자 전환됐다. 이는 반도체 및 2차전지 투자 지연과 전방산업 부진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주가는 최근 1년간 변동성을 보였으며, 2023년 8월 최고가 3,085원을 기록한 이후 하락하여 10월 최저가 1,830원을 기록했다. 현재는 2,000원대에서 안정적인 거래를 유지 중이다.

2025년 하반기부터 신규 수주 확대와 재생에너지 사업부의 EPC 수요 증가로 실적 개선이 예상된다.

특히 RE 부문의 매출 반등이 실적 턴어라운드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성이엔지 종목분석 바로가기

2. 성도이엔지 (KOSDAQ:037350)

1. 기업 개요

두 번째 반도체 클린룸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성도이엔지’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의 클린룸 설계와 시공에 전문성을 보유

1987년 설립된 성도이엔지는 하이테크 산업설비, 플랜트 사업, 종합건설, 부동산 개발 등을 영위하는 종합 엔지니어링 기업이다.

특히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의 클린룸 설계와 시공에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의 주요 반도체 제조사의 생산시설 구축에 참여하고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매출구성
하이테크산업설비 43.85%
종합건설시공 40.78%
가스&케미칼 10.40%
플랜트 4.66%
기타 0.31%

2024년 1분기 기준 매출액은 약 1,900억 원, 영업이익은 68억 원이다. 하이테크 산업설비 부문의 매출 비중이 확대되며 전체 매출 성장을 이끌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증가했으며, 클린룸 사업과 플랜트 수주가 주요 매출원으로 작용했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2024년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2,61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6.2%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261억 원으로 459.8% 증가했다.

하이테크 설비 수주 증가와 클린룸 설계 프로젝트 확대가 실적 개선을 견인했다.

최근 주가는 반도체 업황 회복과 클린룸 수요 증가 기대감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생산시설 투자 소식이 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2025년 매출은 약 2,400억 원, 영업이익은 약 200억 원으로 각각 15.3%, 18.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산업의 투자 확대로 클린룸 사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성도이엔지 종목분석 바로가기

3. 케이엔솔 (KOSDAQ:053080)

1. 기업 개요

세 번째 반도체 클린룸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케이엔솔’이다

반도체 제조 공정에 필수적인 산업용 클린룸과 드라이룸의 설계 및 시공 전문

1989년 설립된 케이엔솔은 산업용 클린룸, 바이오 클린룸, 드라이룸, 교량건설업 부문에서 사업을 영위하는 종합 엔지니어링 기업이다.

초기 기술자문부터 설계, 시공, 감리, 기자재 구매 및 검사, 시운전 및 운영지도, 기류해석 및 개선 등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며, 주요 고객사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이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매출구성
드라이룸 55.86%
산업용클린룸 27.74%
교량건설업 13.65%
바이오클린룸 2.62%
기타 0.13%

2024년 9월 기준, 케이엔솔의 연결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58.6% 증가하였으며, 영업이익은 126.5% 증가, 당기순이익은 76% 증가하였다.

특히 드라이룸(제습기, HVAC 외)의 매출이 대폭 상승하여 전체 매출 비중의 약 55.9%를 차지하고 있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2024년 9월 기준, 매출과 이익 모두 큰 폭으로 성장하였다. 이는 드라이룸 부문의 매출 증가와 함께 산업용 클린룸 및 바이오 클린룸 수요의 지속적인 확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케이엔솔의 주가는 반도체 및 2차전지 산업의 투자 확대에 따른 클린룸 및 드라이룸 수요 증가 기대감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주요 고객사들의 설비 투자 소식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향후 물류센터 시공을 위한 공사 발주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관련 사업을 통해 매출이 추가로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반도체 및 2차전지 산업의 성장에 따라 클린룸과 드라이룸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케이엔솔 종목분석 바로가기

4. 한양이엔지 (KOSDAQ:045100)

1. 기업 개요

네 번째 반도체 클린룸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한양이엔지’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 필수적인 유틸리티 설비와 클린룸 관련 장비를 전문적으로 제작

1988년 7월 설립된 한양이엔지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유틸리티 설비와 관련 장비 제조업을 영위하는 기업이다.

국내 최초로 반도체 제조 공정을 위한 초고순도(UHP) 배관의 설계, 제작, 시공 전 과정을 국산화하는 데 성공하여 외국 기술 의존에서 벗어났다.

또한 산업 플랜트, 가스 산업, 환경 에너지, 우주 항공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매출구성
엔지니어링 사업 89.23%
시스템 사업 10.77%

2024년 1분기 기준, 한양이엔지의 매출액은 3,081억 원이며, 영업이익은 247억 원, EPS는 1,270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증가한 수치로, 엔지니어링 사업 부문에서의 매출이 주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2024년 4분기 매출액은 1조 26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76% 감소하였으나, 영업이익은 851억 원으로 13.10% 증가하였다.

이는 효율적인 비용 관리와 수익성 높은 프로젝트 수행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한양이엔지의 주가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의 투자 확대에 따른 클린룸 수요 증가 기대감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주요 고객사의 설비 투자 소식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한양이엔지의 주가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의 투자 확대에 따른 클린룸 수요 증가 기대감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주요 고객사의 설비 투자 소식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양이엔지 종목분석 바로가기

5. 세보엠이씨 (KOSDAQ:011560)

1. 기업 개요

다섯 번째 반도체 클린룸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세보엠이씨’다

반도체 생산시설을 위한 클린룸 공사와 불소수지 코팅 덕트 제조 전문

1978년 설립된 세보엠이씨는 국내 설비업계의 대표 기업으로, 일반 설비와 반도체 등의 하이테크 설비 시공에 특화되어 있다.

주요 고객사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이 있으며, 반도체 생산시설을 위한 클린룸 공사와 불소수지 코팅 덕트 제조를 통해 성장해 왔다.

2. 매출

주요제품 매출구성
국내도급공사 설비 93.39%
국내도급공사 플랜트 5.50%
기타 1.11%

2024년 9월 기준, 세보엠이씨의 연결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0.9% 감소하였으나, 영업이익은 6% 증가, 당기순이익은 29.9% 증가하였다.

이는 효율적인 비용 관리와 수익성 높은 프로젝트 수행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2024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7% 증가, 영업이익은 21.1% 증가, 당기순이익은 53.6% 증가하였다.

주요 거래처로는 삼성, DL E&C, SK, 두산중공업, 현대, 포스코, 코오롱건설 등과 협력관계를 유지하며 품질ㆍ안전 등의 시공능력을 높이 인정받고 있다.

최근 세보엠이씨의 주가는 반도체 업황 회복과 클린룸 수요 증가 기대감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주요 고객사들의 설비 투자 소식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향후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의 투자 확대에 따른 클린룸 설비 수요 증가로 인해 세보엠이씨의 매출과 수익성은 지속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효율적인 비용 관리와 수익성 높은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영업이익률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세보엠이씨 종목분석 바로가기

6. 엑사이엔씨 (KOSDAQ:054940)

1. 기업 개요

여섯 번째 반도체 클린룸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엑사이엔씨’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생산시설의 클린룸 공사 참여

1991년 5월 3일 설립되어 2001년 12월 13일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었다. 주요 사업으로는 건설부문의 클린룸, 수장, 파티션, 인테리어 공사와 첨단 부품 부문의 온도보상형 수정발진기(TCXO) 제조를 영위하고 있다.

주요 고객사로는 LG디스플레이, 삼성전자 등이 있으며, LG디스플레이 파주 9세대 라인 및 OLED 라인, LG에너지솔루션 공장 증설, 삼성전자 평택 P4 공장 증설 등에 참여하고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매출구성
클린룸 파티션 인테리어 53.55%
엠소닉 26.53%
엠소닉(인니) 15.00%
사물인터넷 관련제품 3.09%
기타 1.83%

2024년 9월 기준, 엑사이엔씨의 연결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0.6% 감소하였으나, 영업이익은 537.1% 증가, 당기순이익은 흑자 전환하였다. 매출은 소폭 감소했지만, 건설사업부문의 원재료 매입액 안정화로 매출 원가가 줄어들어 수익성이 크게 개선되었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2024년 9월 기준,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하였으나,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건설사업부문의 원재료 매입액 안정화와 스피커 사업부의 성장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엑사이엔씨의 주가는 최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의 투자 확대에 따른 클린룸 수요 증가 기대감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주요 고객사들의 설비 투자 소식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향후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함께 클린룸 설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엑사이엔씨의 매출과 수익성도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엑사이엔씨 종목분석 바로가기

7. 케이씨 (KOSPI:029460)

1. 기업 개요

일곱 번째 반도체 클린룸 관련주는 코스피 주식 종목 ‘케이씨’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에 필수적인 가스 공급 장치와 케미컬 공급 장치 제조

1987년 설립된 케이씨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에 필요한 가스 공급 장치와 케미컬 공급 장치를 제조하며, 관련 계열사 관리를 영위하고 있다.

주요 고객사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이 있으며,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의 핵심 설비를 공급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매출구성
공사매출 48.49%
장비부문 28.90%
소재 및 부품 21.05%
내부거래 -1.17%
기타 2.73%

2023년 4분기 기준, 케이씨의 매출액은 약 1,968억 원이며, 영업이익은 57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증가한 수치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의 설비 투자 확대에 따른 수요 증가가 매출 성장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케이씨는 최근 몇 년간 꾸준한 매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의 투자 확대에 따라 가스 공급 장치와 케미컬 공급 장치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자회사의 실적 부진으로 인해 영업이익률이 다소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케이씨의 주가는 최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의 투자 확대 소식에 따라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주요 고객사들의 대규모 설비 투자 소식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향후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함께 케이씨의 가스 공급 장치와 케미컬 공급 장치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효율적인 비용 관리와 수익성 높은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영업이익률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케이씨 종목분석 바로가기

8. 케이엠 (KOSDAQ:083550)

1. 기업 개요

여덟 번째 반도체 클린룸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케이엠’이다

반도체 클린룸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소모품을 제조 및 공급하는 기업으로, 반도체 제조 공정의 청정도를 유지

1989년 설립된 기업으로, 반도체 산업의 클린룸에서 사용되는 소모품을 제조 및 판매하고 있다.

주요 제품으로는 와이퍼, 글러브, 방진복 등이 있으며, 특히 ESD CLASS 10 글러브는 미국 OAK사와 함께 세계 시장을 양분하고, 국내에서는 독점 생산 및 공급하고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매출구성
크린룸 56.23%
BUL 8.61%
산업안전 8.31%
라이프사이언스 6.84%
기타 20.01%

2024년 6월 기준, 케이엠의 연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 감소한 1,277억 7,937만 원을 기록했다.

그러나 영업손실은 736.6% 증가하여 77억 4,206만 원의 손실을 보였으며, 당기순이익도 적자 전환하여 -36억 5,802만 원을 기록했다.

이는 경기 불황으로 인한 매출 감소와 재고자산 충당금 설정 등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케이엠의 최근 실적은 반도체 경기 침체와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클린룸 소모품의 주요 원재료인 부직포 원단의 가격 상승이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주가 또한 이러한 실적 부진을 반영하여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반도체 산업의 회복과 함께 클린룸 소모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경우, 실적 개선과 주가 반등의 가능성도 존재한다.

케이엠 종목분석 바로가기

9. 에코프로에이치엔 (KOSDAQ:383310)

1. 기업 개요

아홉 번째 반도체 클린룸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에코프로에이치엔’이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의 클린룸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케미컬 필터 공급 

2021년 5월 에코프로의 환경사업부문이 인적분할되어 설립된 친환경 토탈 솔루션 전문 기업이다.

주요 사업으로는 클린룸 케미컬 필터, 미세먼지 저감 솔루션, 온실가스 감축 솔루션, 수처리 솔루션 등을 제공하며,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의 클린룸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장치를 공급하고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매출구성
수처리 솔루션 40.87%
온실가스 감축 솔루션 26.08%
클린룸 케미컬 필터 24.81%
미세먼지 저감 솔루션 7.78%
기타 0.46%

2024년 9월 기준, 에코프로에이치엔의 연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4.8% 감소하였으며, 영업이익은 52% 감소, 당기순이익은 47.7% 감소하였다.

이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의 투자 지연과 경기 불황에 따른 수요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에코프로에이치엔의 최근 실적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의 투자 지연과 경기 불황 등의 영향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ESG 경영 트렌드와 환경 규제 강화에 따라 친환경 솔루션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수처리 솔루션 등 신규 사업의 매출이 발생하며 사업 다각화를 통한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

에코프로에이치엔 종목분석 바로가기

10. 위드텍 (KOSDAQ:348350)

1. 기업 개요

열 번째 반도체 클린룸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위드텍’이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의 클린룸에서 발생하는 오염성 화합물을 초정밀 측정하고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공급

대기 오염, 수질 관리, 공정 환경 모니터링 기술을 기반으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사에 솔루션을 제공한다.

특히, 공정 중 발생하는 오염성 화합물의 초정밀 측정 장비를 공급하며, 이 장비는 클린룸의 청정도를 유지하고 제품의 불량률을 낮추는 데 필수적이다.

2. 매출

주요제품 매출구성
용역 71.66%
대기(AMC) 17.60%
대기환경(TMS) 8.34%
공정 프로세스 1.82%
기타 0.58%

2024년 6월 기준, 위드텍의 연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4.6%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적자 전환되었고, 당기순이익은 7.4% 감소했다. 매출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의 투자 지연과 경기 둔화가 꼽힌다.

그러나 주요 고객사와의 장기 계약과 유지보수 서비스 매출이 일정 부분 안정성을 제공하고 있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2024년 매출은 감소했지만, 최근 삼성전자와 114억 원 규모의 산업배출가스측정(TMS) 유지보수 계약을 체결하며 안정적인 매출원을 확보했다.

최근 주가는 실적 부진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나, 반도체 산업 회복세와 함께 주가 반등 가능성이 있다.

특히, 환경 규제 강화와 ESG 경영 트렌드에 따라 환경 모니터링 솔루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서의 환경 모니터링 장비 수요 증가로, 장기적으로 실적 개선 가능성이 크다.

위드텍 종목분석 바로가기

요약 및 결론

반도체 클린룸 관련주식 종목 리스트

  1. 신성이엔지 (KOSPI: 011930) – 대장주
  2. 성도이엔지 (KOSDAQ: 037350)
  3. 케이엔솔 (KOSDAQ: 053080)
  4. 한양이엔지 (KOSDAQ: 045100)
  5. 세보엠이씨 (KOSDAQ: 011560)
  6. 엑사이엔씨 (KOSDAQ: 054940)
  7. 케이씨 (KOSPI: 029460)
  8. 케이엠 (KOSDAQ: 083550)
  9. 에코프로에이치엔 (KOSDAQ: 383310)
  10. 위드텍 (KOSDAQ: 348350)

반도체 클린룸 관련주식: 대장주 선정 이유

💡신성이엔지: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필수적인 고효율 클린룸 설비와 공조 시스템을 설계, 제작, 유지보수까지 포괄적으로 제공하는 기술력을 보유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주요 반도체 기업들과의 협력 관계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매출을 유지하며, 친환경과 고효율 설비로 ESG 트렌드에도 부합한다.

또한, 첨단 미세 공정에 적합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인정받아 클린룸 설비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반도체 관련 주식 테마 더보기:
시스템 반도체 | 메모리 반도체 | AI 반도체 | 온디바이스 AI | NPU | CXL | HBM | 액침냉각 | 유리기판 | 장비 | 소재/부품 | 전공정 | 클린룸 | 후공정 | 생산 | 설계(팹리스) | DDR5 | 차량용반도체 | EUV | FC-BGA | EUV | FC BGA | TSMC | 뉴로모픽 | 엔비디아

관련 테마주는 변동성을 보고 단기 차익을 노리는 경우가 많다.

시가총액이 큰 기업보다는 작은 기업이 대부분이다.

뉴스나 이슈 흐름을 보고 시기에 맞게 반도체 클린룸 관련주식이나 테마주를 바로 떠올릴 수 있으면 주식으로 큰 수익을 볼 수도 있음을 명심하자.

워렌 버핏 50% 투자 방법

중소형주로 주식 투자 성공하기

관련주·테마주 종목 더보기

특정 테마에 따라 같이 움직이는 주식

미국주식 종목 더보기

나스닥 | 다우존스 | S&P 500

확인

초보자 주식 거래 가이드

주식 시장의 기초부터 용어 정의까지

author

필명: 모아이

주식 유니버스 편집장

주식, ETF, 경제 및 산업 동향에 대해 분석한 후, 알고 있는 것과 배우고 있는 것에 대해 글을 쓰고 있습니다. 투자 성공에 도움이 될 만한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공유합니다.

공유조항: 콘텐츠는 자유롭게 퍼가시고, 꼭! 출처와 함께 링크 주소를 남겨주세요.

면책조항: 본 콘텐츠는 투자를 유도할 목적이 아니라, 투자자의 판단에 참고할 수 있는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 최종결정은 투자자 자신의 판단으로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