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는 종목 선택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이 콘텐츠에서는 반도체 설계 팹리스 관련주 및 대장주와 테마주를 정리하고, 시장에서 위치, 그리고 향후 전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성공 투자의 법칙을 공부하며 내일의 급등주를 내 계좌에서 맞볼 수 있는 주식 종목을 찾아보자.
최근 반도체 설계 팹리스 관련주들은 인공지능(AI)과 로봇 등 첨단 기술 분야의 수요 증가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국내 팹리스 기업들은 AI 반도체 개발과 시스템 반도체 생태계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정부 차원에서도 AI 반도체와 팹리스 산업 육성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정 이슈가 사회적으로 화두가 되거나, 산업 동향이 변하면 이에 따라 특정 주식들의 가치가 변하기 마련이다.
초보자도 주식으로 수익을 내고 싶다면 공부가 우선이다. 그럼 함께 상승할 테마 찾기도 수월해질 것이다.
아직도 수익 내는 주식 종목 선정에 고민이라면 반도체 설계 팹리스 관련주 테마와 이슈에 얽힌 종목도 아래에서 무료로 확인하길 추천한다.
반도체 관련 주식 테마 더보기:
시스템 반도체 | 메모리 반도체 | AI 반도체 | 온디바이스 AI | NPU | CXL | HBM | 액침냉각 | 유리기판 | 장비 | 소재/부품 | 전공정 | 클린룸 | 후공정 | 생산 | 설계(팹리스) | DDR5 | 차량용반도체 | EUV | FC-BGA | EUV | FC BGA | TSMC | 뉴로모픽 | 엔비디아
반도체 설계 팹리스 개요 및 분석
팹리스(Fabless)란 반도체 제조 공장을 보유하지 않고 칩 설계에만 집중하는 기업을 의미한다.
제조는 파운드리 기업(예: TSMC, 삼성전자)에 외주를 맡기며, 설계와 기술 개발에 자원을 집중해 고부가가치 칩을 생산한다.
팹리스의 주요 역할
- 반도체 설계: 고성능 프로세서, 메모리, AI 칩 등 다양한 용도에 맞는 칩 설계.
- 파운드리와 협력: 설계된 칩을 TSMC, 삼성전자 등 파운드리 기업이 제조.
- 응용 분야 다양화: 팹리스 기업은 AI, IoT, 전장, 모바일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수요를 충족.
주요 제품군
- 프로세서: CPU, GPU, AI 가속기 등.
- 전장용 칩: 자동차 전자 제어 및 자율주행에 필요한 칩.
- 메모리 인터페이스: 고속 데이터 처리용 컨트롤러.
- 무선 통신: 5G/6G 모뎀, Wi-Fi 칩.
반도체 설계 팹리스 관련주 및 대장주, 테마주 특징
반도체 설계 팹리스 관련주 테마 호재 및 이슈
1.AI, 전장용, IoT 등 미래 성장 분야의 기술력 보유 기업
2.첨단 공정에서의 제조 파트너 의존도와 협력 전략
3.AI, 전장용 반도체 수요 증가 기업
4.각국 정부의 반도체 자립 정책과 보조금 지원 여부
5.공정 전환 비용 증가: 첨단 공정으로의 기술 전환 과정에서 R&D 비용 급증
글로벌 시장 현황
- 2023년 기준, 팹리스 시장 규모는 약 2,500억 달러로 추정되며, 전체 반도체 시장의 약 30%를 차지.
- NVIDIA, Qualcomm, AMD 등 미국 팹리스 기업이 시장의 50% 이상 점유.
- 국내 팹리스 시장은 약 10조 원 규모로, 주요 기업으로는 LX세미콘, 텔레칩스, 동운아나텍 등이 있음.
기술 트렌드
- AI 칩 시장 성장
- 데이터센터와 엣지 컴퓨팅에서 AI 워크로드 증가로 AI 전용 칩 수요 급증.
- NVIDIA가 AI GPU 시장을 주도하며 팹리스 시장 성장에 기여.
- 전장용 반도체 수요 증가
- 전기차, 자율주행차 보급 확대에 따라 차량용 칩 설계에 집중.
- 5G 및 IoT 시장 확장
- IoT 장치와 5G 네트워크 보급이 팹리스 시장 성장을 견인.
미래 전망
- 시장 성장성: 팹리스 시장은 연평균 성장률(CAGR) 8% 이상으로, 2030년까지 약 5,000억 달러 규모로 확대될 전망.
- 첨단 공정 전환: 3nm 이하 공정에서 파운드리와의 협업 중요성 증가.
- 지역별 경쟁:
- 미국: 기술력과 시장 지배력을 바탕으로 주도.
- 중국: 정부 지원으로 팹리스 기업 성장 가속화.
- 한국: LX세미콘, 텔레칩스 등이 전장 및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경쟁력 강화.
관련주나 테마주는 시장 변동성에 민감하다. 특정 이슈나 산업 동향에 따라 주식 가치가 급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트렌드를 이해하고 빠르게 반응해서 괜찮은 주식 종목에 투자하면 큰 수익을 볼 수도 있다.
반도체 설계 팹리스 관련주 콘텐츠를 끝까지 읽고 수익내는 주식 종목 정보를 얻어가기를 바란다.
아래의 목차 가이드를 사용하여 원하는 주식 종목을 따라 이동해서 볼 수 있다.
1. LX세미콘 (KOSPI:108320) – 대장주
1. 기업 개요
첫 번째 반도체 설계 팹리스 관련주는 코스피 주식 종목 ‘LX세미콘’이다.
디스플레이 구동 부품 등 시스템 IC를 설계·판매하며, 국내 최대 팹리스 기업
2000년 설립되어 디스플레이 구동 부품 중심으로 성장해왔으며, LG디스플레이 등 주요 고객사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수출 비중은 99.4%에 이를 정도로 해외 매출 의존도가 높다. 최근에는 마이크로컨트롤러(MCU), 전력 반도체, 방열 기판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 매출구성 |
System IC | 100.00% |
2023년 매출액은 1조 9,014억 원으로 전년 대비 10.3%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약 800억 원으로 58.5% 감소했는데,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과 소비 둔화, 전방 산업 수요 부진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매출은 약간 감소한 1조 8,847억 원으로 예상되나, 영업이익은 1,508억 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TV용 DDI 시장에서의 성장과 LG디스플레이와의 협력이 실적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소형 DDI 점유율 회복과 신규 고객사 진입 효과로 실적 개선이 예상된다.
영업이익 증가와 함께 주가는 추가적인 상승 여력을 가질 것으로 전망된다.
2. 아나패스(KOSDAQ:123860)
1. 기업 개요
두 번째 반도체 설계 팹리스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아나패스’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핵심 부품인 T-Con을 설계·판매
2002년 설립된 팹리스 기업으로, 디스플레이 구동 부품을 주력으로 한다.
주요 제품으로 T-Con과 전원 관리 IC(PMIC)가 있으며, OLED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AI PC 시장 성장에 따른 OLED 노트북 수요 증가로 T-Con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2. 매출
주요제품 | 매출구성 |
OLED | 84.46% |
LCD | 0.11% |
기타 | 15.43% |
2023년 1분기 매출은 36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5.2%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7억 원으로 전년 대비 9.1% 증가했으며, 당기순이익은 33억 원으로 271.6% 증가했다.
주요 매출은 디스플레이 부품 공급에서 발생하며, OLED 디스플레이 수요 확대가 매출 성장을 이끌었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매출은 1,477억 원으로 전년 대비 106.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영업이익은 122억 원으로 171.1%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AI PC와 OLED 디스플레이 채택 증가가 실적 개선의 주요 요인이다.
OLED 디스플레이 시장 성장과 AI PC 확산으로 인한 수요 증가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폰과 노트북용 T-Con 매출 확대로 주가 상승 여력이 기대된다.
3. 제주반도체 (KOSDAQ:080220)
1. 기업 개요
세 번째 반도체 설계 팹리스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제주반도체’다
모바일 메모리 반도체를 설계·판매하는 팹리스 기업
2000년 설립되어 모바일 메모리 반도체의 설계와 판매를 주력으로 하고 있다.
자체 제조 시설 없이 파운드리 업체에 생산을 위탁하는 팹리스(fabless) 모델을 채택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으로는 휴대폰 등 모바일 기기에 적용되는 메모리 반도체인 ‘멀티칩패키지(MCP)’가 있다.
또한, 종속회사로 반도체 메모리 IC 개발회사인 램스웨이와 복권중개회사인 아이지엘을 보유하고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 매출구성 |
반도체사업부 | 100.00% |
2023년 들어 5세대 이동통신(5G) 사물인터넷(IoT) 시장의 성장세로 ‘멀티칩패키지(MCP)’ 등 메모리 반도체 판매가 호조를 보였다.
특히, 올해 매출액 중 5G IoT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40%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판관비 증가로 영업이익은 감소하였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5G와 IoT 시장의 지속적인 확대로 MCP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그러나 판관비 증가 등 비용 부담이 영업이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도 있다.
AI와 IoT 시장 성장 기대감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온디바이스 AI 테마 상승세에 힘입어 주가가 크게 상승한 바 있으며,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이 높게 평가되고 있다.
4. 어보브반도체 (KOSDAQ:102120)
1. 기업 개요
네 번째 반도체 설계 팹리스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어보브반도체’다
가전용 MCU와 전력 반도체를 설계·판매
가전용 MCU 분야에서 국내 선두를 달리는 팹리스 기업이다. MCU는 가전제품과 IoT 기기의 핵심 부품으로, 어보브는 이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주요 고객사로는 가전 대기업과 IoT 기기 제조사가 있으며, 스마트홈과 전장용 MCU로도 영역을 넓히고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 매출구성 |
시스템솔루션 | 33.25% |
씨아이에스 | 24.07% |
SFA반도체 | 20.32% |
장비솔루션 | 15.14% |
기타 | 7.22% |
가전용 MCU와 IoT 제품이 주요 매출원이며, 최근 글로벌 경기 둔화로 인해 매출이 다소 줄었으나, 에너지 효율 제품의 수요 증가로 개선 가능성이 있다.
에너지 효율 관련 제품 비중이 점차 늘어나면서 안정적인 매출 성장이 기대된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에너지 효율화와 IoT 시장의 확대로 MCU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스마트홈, 전장용 MCU 등 신규 분야의 매출 확대가 기대된다.
전력 반도체와 IoT 기기용 MCU의 성장 가능성으로 주가는 중장기적으로 상승 여력이 있다.
다만, 글로벌 경제 상황과 원자재 가격 변동이 주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5. 텔레칩스 (KOSDAQ:054450)
1. 기업 개요
다섯 번째 반도체 설계 팹리스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텔레칩스’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IVI)과 디지털 미디어 기기에 적용되는 프로세서를 설계·판매
차량용 반도체 시장에서 국내 선도 기업으로 자리 잡고 있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IVI), ADAS(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 MCU 등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하며, 현대·기아차 등 주요 완성차 업체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시장 성장에 따라 관련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 매출구성 |
DMP | 85.79% |
Mobile TV 수신칩 | 1.66% |
기타 | 12.55% |
2023년 기준 텔레칩스는 자동차용 반도체 매출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27.1% 증가한 1,910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차량용 반도체 수요 증가와 제품 포트폴리오 확장이 매출 성장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2전기차와 자율주행차 시장 확대에 따라 차량용 반도체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텔레칩스는 IVI AP를 중심으로 ADAS 및 MCU 제품군 확장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연구개발비를 매출액 대비 약 35% 이상 투자하며, 신규 칩 개발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폭스바겐향 납품이 시작될 예정이며, 이는 실적과 주가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차량용 반도체 시장의 구조적 성장도 주가에 우호적인 요인이다.
6. 동운아나텍 (KOSDAQ:094170)
1. 기업 개요
여섯 번째 반도체 설계 팹리스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동운아나텍’이다
아날로그 반도체 하드웨어 소자의 설계와 완성된 제품의 판매 전문
반도체 제조 공정 중 아날로그 반도체 하드웨어 소자의 설계와 완성된 제품의 판매를 전문으로 하는 팹리스 기업이다.
주요 제품은 AF 및 OIS 드라이버 IC로, 전 세계 스마트폰 제조사에 공급하고 있다. 또한, 전장용 햅틱 IC 등으로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 매출구성 |
AF/OIS | 96.68% |
LED조명 | 1.05% |
Haptic | 1.01% |
Display | 0.03% |
기타 | 1.23% |
2024년 1분기 동운아나텍의 매출액은 34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하였다. 이는 국내 및 중화권 스마트폰 판매 증가로 부품 공급이 크게 증가한 데 기인한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전방 스마트폰 산업의 수요 회복 지연에도 불구하고, 샤오미, 오포, 비보 등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의 AF 드라이버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AF/OIS 기술의 라이선스 수익 발생 등으로 지속적인 매출 성장이 기대된다.
동운아나텍은 전기차 및 자율주행 산업에 편승하기 위해 자동차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장용 햅틱 IC 및 LiDAR IC 등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고 있어, 중장기적으로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7. 아이앤씨 (KOSDAQ:052860)
1. 기업 개요
일곱 번째 반도체 설계 팹리스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아이앤씨’다
비메모리 반도체 칩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는 팹리스 기업
비메모리 반도체 칩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는 팹리스 기업이다.
스마트에너지, 무선, 멀티미디어, 전기화재방지 등 다양한 사업 부문을 운영하며, 종속기업으로 (주)글로베인을 보유하고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 매출구성 |
DAB사업 | 56.21% |
무선사업 | 16.37% |
스마트에너지 사업 | 16.03% |
AE사업 | 6.21% |
기타 | 5.18% |
DAB, AE사업, 무선사업, 임대수입 매출이 증가했으나, 스마트에너지 사업부문의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약 91.6% 감소하여 전체 매출액이 감소하였다. 비용 절감 노력에도 영업이익은 적자 전환되었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스마트에너지 사업부문에서 한전 저압 AMI 사업에 기술 및 가격 경쟁력이 높은 제품의 입찰 참여 및 수주로 매출 회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아이앤씨는 스마트에너지 사업 부문의 매출 회복과 무선사업 부문의 성장에 따라 주가 상승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스마트에너지 부문의 매출 감소로 인한 영업이익 적자 전환은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8.가온칩스 (KOSDAQ:399720)
1. 기업 개요
여덟 번째 반도체 설계 팹리스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가온칩스’다
시스템 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
시스템 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으로, 삼성 파운드리의 공정을 활용하여 팹리스 고객사에 디자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최근에는 시스템 반도체 회로설계 부분까지 포함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 매출구성 |
인공지능(AI) | 55.84% |
Automotive | 15.80% |
용역매출 | 12.35% |
보안(Security) | 12.31% |
기타 | 3.70% |
2024년 9월 기준, 가온칩스의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64.2% 증가하였다. 이는 차량용 및 AI 반도체 수요 증가와 일본 시장 진출에 따른 성과로 분석된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가온칩스는 높은 기술력과 선단공정에 최적화된 차량용 및 AI 반도체 포트폴리오를 확보하고 있다.
AI 반도체 수주와 일본 현지 법인 설립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장 가능성이 높다.
AI 반도체 및 차량용 반도체 시장의 성장과 일본 시장에서의 수혜 가능성은 가온칩스의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9. 파두(KOSDAQ:440110)
1. 기업 개요
아홉 번째 반도체 설계 팹리스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파두’다.
데이터센터용 SSD 컨트롤러를 설계하는 팹리스 기업
데이터센터 및 엔터프라이즈 스토리지 시장을 타겟으로 한 SSD 컨트롤러를 설계하는 팹리스 기업이다.
고성능과 저전력을 동시에 구현하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주요 기업들과 협력하고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 매출구성 |
SSD 완제품 | 80.49% |
SSD 컨트롤러 | 19.51% |
2024년 상반기 파두의 매출액은 94억 원으로, 1분기 23억 원에서 2분기 71억 원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기업용 SSD 업황 회복과 신규 수주 증가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2024년 5월부터 8월까지 총 333억 원 규모의 신규 수주를 확보하였으며, 하반기에도 추가 수주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신규 고객 확대와 글로벌 시장 진출을 통해 본격적인 실적 성장이 예상된다.
2024년 9월 9일 11,420원으로 저점을 기록한 이후, 실적 개선과 매출 확대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가가 상승하여 10월 17일 기준 19,750원에 거래되었다.
향후 실적 회복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10. 에이직랜드 (KOSDAQ:445090)
1. 기업 개요
열 번째 반도체 설계 팹리스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에이직랜드’다.
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으로, TSMC의 국내 유일 공식 협력사
시스템 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으로, TSMC의 국내 유일 공식 협력사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사업은 고객사의 논리 회로 설계를 물리적 설계로 전환하여 TSMC 파운드리 공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디자인 솔루션 제공이다.
2. 매출
주요제품 | 매출구성 |
LPCVD장비 외 | 86.32% |
상품 및 기타 | 9.66% |
전구체 | 4.02% |
2024년 3분기 에이직랜드의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7% 감소한 142억 원을 기록하였으며, 영업이익은 적자 전환되었다.
이는 TSMC 공정을 이용하는 고객사의 제조용 도면 제작 주문 및 반도체 칩 초기 개발 설계 솔루션 등의 수요 둔화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AI 반도체 과제 수행을 통해 매출 증대를 기대하고 있다.
파두와 기업용 PCIe NVMe SSD 컨트롤러 솔루션 반도체 설계 개발 계약을 체결하는 등, AI 및 RF 관련 개발 계약을 통해 실적 개선이 예상된다.
AI 반도체 시장의 성장과 TSMC와의 협력 관계를 고려할 때, 에이직랜드의 주가는 긍정적인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AI 및 RF 관련 개발 계약 체결로 인한 매출 증대는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요약 및 결론
반도체 설계 팹리스 관련주식 종목 리스트
- LX세미콘 (KOSPI: 108320) – 대장주
- 아나패스 (KOSDAQ: 123860)
- 제주반도체(KOSDAQ: 080220)
- 어보브반도체 (KOSDAQ: 102120)
- 텔레칩스 (KOSDAQ: 054450)
- 동운아나텍 (KOSDAQ: 094170)
- 아이앤씨 (KOSDAQ: 052860)
- 가온칩스 (KOSDAQ: 399720)
- 파두 (KOSDAQ: 440110)
- 에이직랜드 (KOSDAQ: 445090)
반도체 설계 팹리스 관련주식: 대장주 선정 이유
💡LX세미콘: 디스플레이 구동칩(DDI) 분야에서의 독보적인 시장 점유율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매출을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OLED 및 LCD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다양한 제품군에서 고객사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설계 능력과 함께, 전장용 반도체 등 신성장 분야로의 사업 확장에도 적극적이다.
삼성전자, LG디스플레이, BOE 등 글로벌 주요 디스플레이 제조사들과의 협력을 통해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R&D 투자와 글로벌 시장 확대 전략으로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게 평가되고 있다.
반도체 관련 주식 테마 더보기:
시스템 반도체 | 메모리 반도체 | AI 반도체 | 온디바이스 AI | NPU | CXL | HBM | 액침냉각 | 유리기판 | 장비 | 소재/부품 | 전공정 | 클린룸 | 후공정 | 생산 | 설계(팹리스) | DDR5 | 차량용반도체 | EUV | FC-BGA | EUV | FC BGA | TSMC | 뉴로모픽 | 엔비디아
관련 테마주는 변동성을 보고 단기 차익을 노리는 경우가 많다.
시가총액이 큰 기업보다는 작은 기업이 대부분이다.
뉴스나 이슈 흐름을 보고 시기에 맞게 반도체 설계 팹리스 관련주식이나 테마주를 바로 떠올릴 수 있으면 주식으로 큰 수익을 볼 수도 있음을 명심하자.
참고자료
-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10832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
-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12386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
-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08022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
-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10212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
-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05445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
-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09417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
-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05286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
-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39972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
-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44011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
-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44509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