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는 종목 선택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이 콘텐츠에서는 반도체 생산 관련주 및 대장주와 테마주를 정리하고, 시장에서 위치, 그리고 향후 전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성공 투자의 법칙을 공부하며 내일의 급등주를 내 계좌에서 맞볼 수 있는 주식 종목을 찾아보자.
최근 반도체 생산 관련주들은 인공지능(AI)과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에 힘입어 반도체 수요가 증가하면서 긍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특정 이슈가 사회적으로 화두가 되거나, 산업 동향이 변하면 이에 따라 특정 주식들의 가치가 변하기 마련이다.
초보자도 주식으로 수익을 내고 싶다면 공부가 우선이다. 그럼 함께 상승할 테마 찾기도 수월해질 것이다.
아직도 수익 내는 주식 종목 선정에 고민이라면 [반도체 생산] 관련주 테마와 이슈에 얽힌 종목도 아래에서 무료로 확인하길 추천한다.
반도체 관련 주식 테마 더보기:
시스템 반도체 | 메모리 반도체 | AI 반도체 | 온디바이스 AI | NPU | CXL | HBM | 액침냉각 | 유리기판 | 장비 | 소재/부품 | 전공정 | 클린룸 | 후공정 | 생산 | 설계(팹리스) | DDR5 | 차량용반도체 | EUV | FC-BGA | EUV | FC BGA | TSMC | 뉴로모픽 | 엔비디아
반도체 생산 개요 및 분석
반도체 생산은 전공정(Front-End)과 후공정(Back-End)으로 나뉜다. 전공정에서는 웨이퍼에 회로를 형성하고, 후공정에서는 웨이퍼에서 칩을 분리해 패키징 및 테스트를 진행한다.
생산 과정은 첨단 공정 기술과 설비를 필요로 하며, 글로벌 파운드리(위탁 생산)와 IDM(종합 반도체 기업) 구조로 이루어진다.
반도체 생산의 핵심 특징
- 고정밀 기술: 미세공정(3nm 이하)으로 전환되며 첨단 리소그래피(EUV)와 식각 기술의 중요성이 높아짐.
- 장비 의존도: 반도체 생산은 포토리소그래피, 증착, 식각, 검사 장비 등 고가 장비에 의존.
- 공장 투자 규모: 웨이퍼 생산 공장을 설립하려면 수조 원 이상의 초기 투자 비용이 필요.
반도체 생산 관련주 및 대장주, 테마주 특징
반도체 생산 관련주 테마 호재 및 이슈
1.삼성전자와 TSMC의 기술 리더십 및 시장 점유율을 확인
2.글로벌 IT 기업(애플, 엔비디아, 구글 등)과 협력 관계를 유지하는 기업
3.데이터센터, AI, 전장용 반도체 등 고성능 칩의 수요 증가
4.경기 변동성: 반도체는 글로벌 경기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며, 수요 감소 시 타격
5.반도체 자립 정책은 특정 지역 투자 기회 확대
6.친환경 공정과 에너지 효율적인 생산 설비를 갖춘 기업
글로벌 시장 현황
- 글로벌 반도체 시장 규모는 약 5,730억 달러로 추정되며, 데이터센터, AI, 전장용 반도체 수요가 급성장.
- 파운드리 시장은 TSMC와 삼성전자가 양대 축을 형성하며, 3nm 이하 공정에서 경쟁 중.
- IDM 기업으로는 인텔,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이 메모리와 비메모리 부문에서 활약.
기술 트렌드
- 첨단 미세공정 기술
- 5nm에서 3nm 이하로 공정 전환이 가속화되며, EUV 장비 활용이 필수.
- 저전력 고성능 반도체 수요 증가로 인해 2nm 이하 공정 개발도 진행 중.
- 첨단 패키징 기술
- 3D 패키징과 팬아웃 기술을 통해 고집적도 구현.
- AI 및 고성능 컴퓨팅(HPC) 수요 증가가 주요 원인.
- 전장용 반도체
- 전기차 및 자율주행차 도입 확대에 따라 차량용 반도체 수요 급증.
미래 전망
- 시장 성장성: 반도체 시장은 AI와 데이터센터 수요로 연평균 성장률 6% 이상 전망.
- 지역별 투자 확대:
- 미국과 유럽: 반도체 자립 정책(CHIPS Act, EU Chips Act)으로 생산 투자 확대.
- 아시아: TSMC,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이 대규모 공장 증설.
관련주나 테마주는 시장 변동성에 민감하다. 특정 이슈나 산업 동향에 따라 주식 가치가 급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트렌드를 이해하고 빠르게 반응해서 괜찮은 주식 종목에 투자하면 큰 수익을 볼 수도 있다.
반도체 생산 관련주 콘텐츠를 끝까지 읽고 수익내는 주식 종목 정보를 얻어가기를 바란다.
아래의 목차 가이드를 사용하여 원하는 주식 종목을 따라 이동해서 볼 수 있다.
1. 삼성전자 (KOSPI:005930) – 대장주
1. 기업 개요
첫 번째 반도체 생산 관련주는 코스피 주식 종목 ‘삼성전자’다.
메모리 반도체와 파운드리 사업에서 세계적인 경쟁력 보유
메모리 반도체(DRAM, NAND), 시스템 반도체(파운드리), 디스플레이 패널, 스마트폰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거나 상위권에 위치한다.
특히 메모리 반도체와 파운드리 사업에서의 기술력과 생산 능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 매출구성 |
DX(가전,스마트폰 등) | 59.69% |
DS(반도체 등) | 35.97% |
SDC(OLED패널 등) | 9.34% |
Harman | 4.60% |
기타 | -9.60% |
2024년 2분기 기준 삼성전자의 매출액은 74조 68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했다. AI와 고대역폭 메모리(HBM), SSD 제품의 수요 증가가 주요 성장 동력이었다.
특히 데이터센터와 AI 기반 시스템의 증가로 고성능 반도체 제품 매출이 크게 확대됐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2024년 4분기 영업이익은 6조 5천억 원으로, 시장 예상치인 7조 7천억 원을 하회했다. 이는 고급 칩 생산 지연과 메모리 칩 수요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
AI 및 데이터센터 중심의 메모리 제품 수요 증가, HBM3E 제품 출시, 파운드리 수주 확대 등이 실적 개선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또한, 삼성전자의 AI와 관련된 반도체 기술력은 향후 장기적인 성장을 뒷받침할 것으로 예상된다.
2. SK하이닉스 (KOSPI:000660)
1. 기업 개요
두 번째 반도체 생산 관련주는 코스피 주식 종목 ‘SK하이닉스’다.
DRAM과 NAND 플래시 메모리 등 반도체 생산에서 글로벌 선도 기업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DRAM, NAND 플래시 메모리, 그리고 고부가가치 제품인 HBM을 생산하며, 글로벌 IT 기업들에게 주요 부품을 공급하고 있다.
데이터센터, AI, 스마트폰 등의 성장세에 힘입어 기술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 매출구성 |
반도체 부문 | 100.00% |
2024년 3분기 매출은 16.4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5% 증가했다. HBM과 같은 고부가가치 제품의 수요 확대가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했다.
AI와 데이터센터 중심의 시장 트렌드가 반도체 판매 증가를 뒷받침했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2024년 3분기 영업이익은 약 7조 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적자에서 흑자 전환했다.
이는 AI 관련 반도체 수요와 HBM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HBM3E 및 HBM4 등 차세대 메모리 제품의 출시와 AI 수요 증가에 힘입어 중장기적으로 주가 상승이 기대된다.
2028년까지 약 103조 원 규모의 투자 계획도 기술 경쟁력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3. DB하이텍 (KOSPI:000990)
1. 기업 개요
세 번째 반도체 생산 관련주는 코스피 주식 종목 ‘DB하이텍’이다
전력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구동칩 등 다양한 반도체를 생산하는 파운드리 전문 기업
전력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구동칩을 주력으로 생산하며, 자동차 전장용 반도체와 IoT 기기용 칩 수요 증가에 따라 성장 가능성이 높다.
또한, 반도체 설계에서 제조까지 원스톱 솔루션을 제공하며, 고객 맞춤형 공정 개발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 매출구성 |
반도체 | 92.89% |
기타 | 7.11% |
2024년 1분기 매출은 2,615억 원으로, 전 분기 대비 6%,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했다.
주요 매출은 전력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구동칩에서 발생하며, 글로벌 경기 둔화와 일부 고객사의 수요 감소가 매출 감소의 원인으로 분석된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2024년 1분기 영업이익은 41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 감소했지만, 영업이익률은 16%로 예상치를 상회했다.
하반기에는 전장용 반도체 수요 증가와 8인치 파운드리 시장 회복이 실적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주가는 약 15,500원 수준이며, 목표 주가는 18,000~20,000원으로 예상된다.
전장용 반도체와 IoT 칩 수요 증가에 따라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이 높게 평가되고 있다.
4. 에스에프에이 (KOSDAQ:056190)
1. 기업 개요
네 번째 반도체 생산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에스에프에이’다
반도체 패키징 장비와 물류 자동화 설비 공급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장비, 물류 자동화 설비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기업이다. 특히 2차전지 관련 장비 및 OLED 물류용 장비를 공급하며 신사업에서도 강점을 보이고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 매출구성 |
시스템솔루션 | 33.25% |
씨아이에스 | 24.07% |
SFA반도체 | 20.32% |
장비솔루션 | 15.14% |
기타 | 7.22% |
2024년 4분기 기준 매출액은 7,053억 7,000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5.52% 증가했다. 이는 디스플레이와 2차전지 장비 수주 증가가 주요 원인이다.
2차전지 및 반도체 장비가 매출 성장의 핵심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크론의 매출 비중은 반도체 제조 부문이 73.0%, 반도체 재료 부문이 18.0%, 특수가스 부문이 2.9%를 차지한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2024년 4분기 영업이익은 360억 8,100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2.14% 증가했다.
연간 영업이익은 854억 7,526만 원으로 전년 대비 감소했지만, 신사업 투자 비용이 반영된 결과다.
OLED 물류용 장비와 반도체 패키징 장비 공급 확대가 예상되며, 특히 삼성디스플레이와의 협력 강화가 외형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2차전지 장비 수주 증가도 중장기적으로 주가 상승에 기여할 전망이다.
5. 에프에스티 (KOSDAQ:036810)
1. 기업 개요
다섯 번째 반도체 생산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에프에스티’다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필수적인 펠리클과 칠러 생산
반도체 노광 공정에서 포토마스크를 보호하는 펠리클과 식각 공정 중 온도 제어를 담당하는 칠러를 주요 제품으로 한다.
최근 EUV 공정용 펠리클 개발에 주력하며, 첨단 반도체 공정에서 필수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 매출구성 |
재료 | 51.80% |
장비 | 47.41% |
기타 | 0.79% |
2023년 매출액은 1,976억 원으로 전년 대비 10% 감소했다. 반도체 업황 부진과 주요 고객사의 투자 지연이 매출 감소의 주된 요인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첨단 공정용 제품 매출 비중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2023년 영업손실은 108억 원, 순손실은 181억 원으로 적자 전환됐다.
하지만 EUV 펠리클의 양산화와 자회사 화인세라텍의 세라믹 부품 사업 본격화로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
삼성전자의 텍사스 파운드리 공장 개설과 같은 대규모 투자로 펠리클 수요가 증가할 전망이다.
또한 반도체 업황 회복과 EUV 관련 제품의 매출 확대가 예상되어 주가 상승 가능성이 높다.
6. 칩스앤미디어 (KOSDAQ:094360)
1. 기업 개요
여섯 번째 반도체 생산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칩스앤미디어’다
반도체 설계자산을 개발 및 판매하는 핵심 기업
반도체 설계자산(Silicon Intellectual Property) 전문업체로, 반도체 칩 제조사에 비디오 IP를 라이선스하며 이를 기반으로 스마트폰, 디지털 TV, IoT 기기 등 다양한 제품의 반도체 설계를 지원한다.
고객사로는 글로벌 반도체 기업과 디바이스 제조사가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 매출구성 |
라이선스 | 50.46% |
로열티 | 43.59% |
용역 | 5.95% |
2022년 매출액은 241억 원으로 전년 대비 21% 증가했다. 라이선스 비중이 41.7%, 로열티 54.3%, 유지보수 용역 4.0%를 차지하며, 영상처리 수요 증가와 글로벌 반도체 시장 회복이 주요 성장 요인으로 작용했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2023년 3분기 매출액은 69억 5,300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4%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2억 1,900만 원으로 27.7% 증가했다.
순이익은 32억 4,100만 원으로 92.4% 증가하며 높은 수익성을 기록했다.
영상처리와 AI 기반 반도체 칩 수요 확대가 기대된다.
특히 차량용 반도체와 IoT 기기의 비디오 처리 요구 증가로 장기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7. 제주반도체 (KOSDAQ:080220)
1. 기업 개요
일곱 번째 반도체 생산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제주반도체’다
저전력·저용량 메모리 반도체 설계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 공급
반도체 제조 시설 없이 설계만을 전문으로 하는 팹리스 업체다.
주요 제품으로는 NAND MCP, 저전력 고속 SRAM, CRAM, DRAM 등이 있으며, 주요 고객사는 중국, 유럽, 대만, 미주 등 전 세계에 분포한다.
고객 기반이 다양하며, 매출의 60~70%는 상위 10개 고객사에서 발생한다.
2. 매출
주요제품 | 매출구성 |
반도체사업부 | 100.00% |
2023년 3분기 매출액은 39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79% 증가했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43억 원으로 3.25% 감소했고, 당기순이익은 67억 원으로 42.26% 감소했다.
반도체 업황 부진과 주요 고객사의 투자 지연이 매출 증가를 제한한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2023년 3분기까지 누적 매출액은 1,114억 원으로 전년 대비 17.02%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138억 원으로 53.43%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168억 원으로 50.25% 줄었다. 이는 반도체 시장 침체와 수요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
제주반도체는 저전력 메모리 반도체 기술력을 기반으로 5G, IoT, 자동차 전장 등 신시장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온디바이스 AI 시장 확대는 제주반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다.
다만, 현재 반도체 업황 부진이 단기적인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8.두산테스나 (KOSDAQ:131970)
1. 기업 개요
여덟 번째 반도체 생산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두산테스나’다
반도체 제조 공정의 필수적인 테스트 서비스를 제공
모바일 CMOS 이미지 센서(CIS)와 시스템 온 칩(SoC) 등의 테스트 솔루션을 제공한다. 웨이퍼 테스트가 주요 매출원이며, 평택과 안성에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다.
테스트 품목 다변화와 전장용 반도체 수요 확대에 따라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된다.
2. 매출
주요제품 | 매출구성 |
Wafer Test | 95.07% |
PKG Test | 4.93% |
2024년 1분기 매출은 91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했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112억 원으로 5% 감소했다.
주요 원인은 고객사의 공정 개선 지연과 인건비 상승으로 분석된다. 매출 비중은 모바일 CIS 39%, SoC 36%, 기타 제품 25%로 구성된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연간 매출은 약 4,049억 원, 영업이익은 7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전장용 반도체 테스트 수요 증가와 CIS 테스트 품목 확대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온디바이스 AI와 차량용 반도체 수요 확대, 신규 시설 투자 효과로 중장기적인 성장세가 기대된다.
현재 진행 중인 2,200억 원 규모의 신규 투자도 향후 실적 개선에 기여할 가능성이 크다.
9. 원익IPS (KOSDAQ:240810)
1. 기업 개요
아홉 번째 반도체 생산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원익IPS’다.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필수적인 전공정 장비 공급
반도체 전공정 장비를 주력으로 하며, CVD(화학 기상 증착) 및 ALD(원자층 증착) 장비를 개발·제조한다.
주요 고객사는 삼성전자 등 대형 반도체 제조사로, 반도체 부문이 전체 매출의 94%를 차지한다.
2. 매출
주요제품 | 매출구성 |
반도체 | 80.86% |
디스플레이 | 19.14% |
2023년 매출액은 6,903억 원으로 전년 대비 31.8%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181억 원으로 적자 전환되었다. 당기순이익도 -135억 원으로 적자를 기록했다.
반도체 업황 부진과 디스플레이 부문 매출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원익IPS의 매출액은 전년 대비 7.5% 증가한 7,424억 원, 영업이익은 157억 원으로 흑자 전환이 예상된다.
이는 반도체 시장 회복과 디스플레이 수주 증가에 따른 매출 회복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증권사들의 최근 3개월 목표주가 평균은 39,833원으로 현재 주가 대비 약 74.3%의 상승 여력이 있다.
반도체 시장의 회복과 함께 원익IPS의 주가도 긍정적인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10. 유진테크 (KOSDAQ:084370)
1. 기업 개요
열 번째 반도체 생산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유진테크’다.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필수적인 전공정 장비를 공급
반도체 박막 형성에 필수적인 전공정 프로세스 장비를 개발·생산하며, 특히 배치 타입 원자층 증착(ALD) 장비의 국산화에 성공하여 국내 반도체 장비 산업을 선도하고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 매출구성 |
LPCVD장비 외 | 86.32% |
상품 및 기타 | 9.66% |
전구체 | 4.02% |
2023년 3분기 매출액은 50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5% 감소했으며, 누적 매출액은 2,059억 원으로 18.7%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3분기에 7억 원으로 94.7% 감소했으며, 누적 기준으로는 190억 원으로 63.5% 줄어들었다.
이는 반도체 업황 부진과 주요 고객사 투자 지연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영업이익은 기존 예상치보다 상향 조정된 194억 원이 예상되며, 2025년에는 971억 원으로 추가 성장할 전망이다.
이는 1b 공정 전환과 클러스터 형태의 장비 수요 증가로 인한 효과다.
주요 고객사의 공정 전환에 따른 장비 수요 증가로 주가 상승이 기대된다.
현재 주가는 35,900원으로, 목표 주가 69,000원 대비 약 92.2%의 상승 여력이 있다.
요약 및 결론
반도체 생산 관련주식 종목 리스트
- 삼성전자 (KOSPI: 005930) – 대장주
- SK하이닉스 (KOSPI: 000660)
- DB하이텍 (KOSPI: 000990)
- 에스에프에이 (KOSDAQ: 056190)
- 에프에스티 (KOSDAQ: 036810)
- 칩스앤미디어 (KOSDAQ: 094360)
- 제주반도체 (KOSDAQ: 080220)
- 두산테스나 (KOSDAQ: 131970)
- 원익IPS (KOSDAQ: 240810)
- 유진테크 (KOSDAQ: 084370)
반도체 생산 관련주식: 대장주 선정 이유
💡삼성전자: 메모리 반도체(DRAM, NAND)와 파운드리(위탁 생산) 사업에서 세계적인 기술력과 시장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첨단 3nm 이하 공정 기술과 EUV 리소그래피 기술을 선도하며 TSMC와 함께 파운드리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
또한, 전방산업인 데이터센터, AI, 전장용 반도체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대규모 생산 시설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반도체 산업의 핵심 축으로, 안정적인 수익 구조와 기술 혁신을 통해 투자자들에게 높은 신뢰를 얻고 있다.
반도체 관련 주식 테마 더보기:
시스템 반도체 | 메모리 반도체 | AI 반도체 | 온디바이스 AI | NPU | CXL | HBM | 액침냉각 | 유리기판 | 장비 | 소재/부품 | 전공정 | 클린룸 | 후공정 | 생산 | 설계(팹리스) | DDR5 | 차량용반도체 | EUV | FC-BGA | EUV | FC BGA | TSMC | 뉴로모픽 | 엔비디아
관련 테마주는 변동성을 보고 단기 차익을 노리는 경우가 많다.
시가총액이 큰 기업보다는 작은 기업이 대부분이다.
뉴스나 이슈 흐름을 보고 시기에 맞게 반도체 생산 관련주식이나 테마주를 바로 떠올릴 수 있으면 주식으로 큰 수익을 볼 수도 있음을 명심하자.
참고자료
-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00593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
-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00066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
-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00099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
-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05619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
-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03681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
-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09436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
-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08022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
-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13197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
-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24081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
-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08437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