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TOP 10: 테마주 & 대장주 | 장단점 및 전망

author

Moai

주식 유니버스 편집장

최근 업데이트:

주식 투자는 종목 선택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이 콘텐츠에서는 2차전지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및 대장주와 테마주를 정리하고, 시장에서 위치, 그리고 향후 전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성공 투자의 법칙을 공부하며 내일의 급등주를 내 계좌에서 맞볼 수 있는 주식 종목을 찾아보자.

국내 배터리 업계가 전기차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화재 위험이 낮은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특정 이슈가 사회적으로 화두가 되거나, 산업 동향이 변하면 이에 따라 특정 주식들의 가치가 변한다.

초보자도 주식으로 수익을 내고 싶다면 공부가 우선이다. 그럼 함께 상승할 테마 찾기도 수월해질 것이다.

아직도 수익 내는 주식 종목 선정에 고민이라면 2차전지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테마와 이슈에 얽힌 종목도 아래에서 무료로 확인하길 추천한다.

전고체 배터리 외 2차전지 관련주식 테마 더보기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2차전지 전고체 배터리 개요

리튬이온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비교
자료: 포스코퓨처엠

전고체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이온을 전달하는 ‘전해질‘을 기존 가연성의 액체에서 고체로 대체한 배터리를 말한다.

리튬이온 배터리 구분 전고체 배터리
고체
(리튬·니켈·망간·코발트 등)
양극재 고체
(리튬·니켈·망간·코발트 등)
고체
(흑연·실리콘 등)
음극재 고체
(리튬 금속·흑연·실리콘 등)
액체 전해질 고체
(황화물·산화물·폴리머)
고체필름 분리막 불필요

고체 전해질을 사용해서 양극과 음극 간 접촉을 막는 분리막이 필요 없다.

전고체 배터리 장점

장점 상세내용
높은 안정성 액체 전해질 누액 등으로 인한 화재 및 폭발 위험 저감
에너지 밀도 향상 분리막·안정장치 등을 줄이고 활물질을 늘릴 수 있어 에너지밀도가 2배 가량 향상
극한에서 성능 저하 개선 0도 이하 저온, 60-100도 고온에서 액체 전해질 보다 전도 성능 향상
충전 시간 단축 분리막 없이 고체 전해질 사이로 이온이 이동해서 충전 속도 향상

전고체 배터리가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 받는 이유는 배터리 기술 발전의 주요 트렌드인 안정성·에너지밀도·충전 성능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전고체 배터리가 안전하고, 멀리 주행할 수 있고, 충전도 빠르다.

전고체 배터리 단점

고체 전해질의 특성상 배터리의 출력이 저하되는 단점도 있다.

리튬 이온이 고체 사이를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액체 전해질 대비 ‘이온전도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및 대장주, 테마주 특징

KEY POINT: 해당 2차전지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테마 기업들은 새로운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관련 특허 출원 및 기대감에 의해 주가가 좌우되는 경우가 많다.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테마 호재 및 이슈

1. 전고체 배터리 사업(친환경 이동수단용 고성능 차세대 2차전지 기술 개발 사업) 관련 뉴스.
2. 복합 고체 전해질 개발 뉴스.
3. 3대 배터리사의 전고체 배터리 시설 관련 뉴스.
  • LG에너지솔루션: ‘4680 원통형’ 배터리 생산공장 구축
  • 삼성SDI: 2027년 전고체 전지 출시 계획
  • 현대차: 2027년 전고체 배터리 장착한 전기차 출시 계획
전고체 배터리 시장 성장률
자료: precedenceresearch.com

업계에서는 2027년부터 2030년 사이에 전고체 배터리가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한다.

글로벌 시장의 규모가 연평균 38.8%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035년경 전세계 자동차 9,000만대 중 약 88%가 전기차로 대체될 것으로 보인다.

그 중 전고체 배터리를 탑재한 모델은 약 11%(872만대) 수준으로 예측한다.

[더보기] 2차전지 셀 & 양극재·음극재 & 분리막 관련주 TOP 10

트렌드를 이해하고 빠르게 반응해서 괜찮은 주식 종목에 투자하면 큰 수익을 볼 수도 있다.

2차전지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콘텐츠를 끝까지 읽고 수익내는 주식 종목 정보를 얻어가기를 바란다.

아래의 목차 가이드를 사용하여 원하는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식 종목을 따라 이동해서 볼 수 있다.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배너

1. 덕산테코피아 (KOSDAQ:317330) – 대장주

1. 기업 개요

첫 번째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덕산테코피아’다.

2차전지 전고체 배터리 제조업체 세븐킹에너지의 지분 68% 보유.

OLED의 핵심요소인 유기재료와 반도체 전자재료 등 화학제품을 전문적으로 생산한다.

국내 최초로 HCDS를 직접 합성부터 초고순도 정제까지 일괄 제조하고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매출구성
반도체 소재 54.80%
택배사업 31.38%
기타 4.85%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3% 감소,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이 적자전환했다.

자회사 ‘덕산일렉라’를 통해 미국 테네시주 전해액 공장 설립을 추진 중이다.

이르면 2024년부터 제품 공급이 이뤄질 것으로 보이고, 미국의 ‘첨단 제조생산 세액공제(AMPC)’를 받을 수 있게 된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전고체 배터리 연구개발(R&D) 업체인 세븐킹에너지를 인수해서 무분리막 전극일체형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하고 있다.

다양한 형태의 외관 변형이 가능하고, 고체 전해질 두께를 절반 이하로 줄일 수 있어 높은 에너지밀도를 구현할 수 있다.

세븐킹에너지는 리튬 배터리 장비 제작업체와 협업을 통해 무분리막 일체형 극판 제작과 조립공정 간소화 기술도 개발 중이다.

덕산테코피아 종목분석 바로가기

2. 동화기업 (KOSDAQ:025900)

1. 기업 개요

두 번째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동화기업’이다.

고체 전해질 개발 중. 전고체 배터리용 전해액 연구 국책과제 수행.

MDF, PB, MFB, 화학, 건장재 사업을 하고, 파티클보드 및 MDF 국내 점유율 1위 업체다.

2. 매출

주요제품 매출구성
소재사업 및 화학사업 87.63%
하우징(마루) 14.95%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6% 감소,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은 적자전환했다.

중소형 및 대용량 2차 전지 부문이 신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헝가리 지역에 전해액 공장 준공 했고, 미국 현지에 공장 증설 중이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전해질 생산기업인 동화일렉트로라이트를 인수했다.

국내와 중국, 말레이시아, 헝가리 등 공장에서 전해질 생산 능력은 약 5만톤 수준이다.

2024년 가동 예정인 미국 테네시 공장의 생산 능력을 감안하면 2년후 최소 8만톤, 최대 10만톤 수준이다.

동화일렉트로라이트는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 국내 배터리 제조업체에 액체 전해질을 공급하고 있다.

동화기업 종목분석 바로가기

3. 레몬 (KOSDAQ:294140)

1. 기업 개요

세 번째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레몬’이다.

전기차 전고체 전지 전해질 지지체 개발.

소재전문기업으로 설립되었고, 나노관련사업 및 전자부품사업을 하고있다.

복합기능성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제조 및 응용 제품을 생산한다.

전자부품사업은 무전해 도금기술을 이용하여 전자파 차폐,흡수 및 방열기능의 극박막 복합소재를 생산하고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매출구성
나노섬유, 나노필터 58.21%
전자부품(복합방열) 41.79%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74.5% 감소, 영업손실은 742% 증가, 당기순손실은 2335.1% 증가했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기존 전고체 전지 대비 용량과 수명이 각각 1.5배, 5.5배 향상된 전고체 전지 개발에 성공해 관련 제반 기술을 특허 출원했다.

한국화학연구원 에너지융합소재연구센터 김동욱 박사팀과 다공성 나노파이버 지지체를 이용한 리튬 고분자 전지 개발을 진행한 결과다.

나노파이버를 적용한 전고체 전지 특성은 이온 전도도 향상과 고분자 전해질 함침성 개선으로 기존 지지체 전고체 전지 대비 높은 용량을 구현했다.

레몬 종목분석 바로가기

4. 미래컴퍼니 (KOSDAQ:049950)

1. 기업 개요

네 번째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미래컴퍼니’다.

삼성SDI의 지원으로 전고체전지 연구개발 프로젝트 참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장비 연구 개발 및 제조하는 사업을 한다.

자회사 미래디피를 통해 터치 패널을 제조 판매하고 있다. 신규사업으로 ToF 3D 카메라 및 복강경 수술로봇 사업을 진행한다.

2. 매출

주요제품 매출구성
디스플레이 제조장비 91.59%
터치 패널 6.50%
디스플레이 부품 등 0.99%
기타 0.92%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4% 감소, 영업이익은 71.8% 감소, 당기순이익은 61.3% 감소했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미래컴퍼니는 2024년까지 전고체 전지 정부 과제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2021년 이 과제에 정부와 삼성SDI의 지원을 받는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를 통해 삼성SDI와 얽혀 관련 소식에 주가가 함께 반응한다.

미래컴퍼니 종목분석 바로가기

5. 디에이테크놀로지 (KOSDAQ:196490)

1. 기업 개요

다섯 번째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디에이테크놀로지’다.

전고체 배터리 관련 장비 사업 추진.

2000년 설립되어 2차전지 설비 제조 및 판매업을 주요 사업으로 한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고속 노칭 설비의 H/W 및 S/W 기술특허 및 요소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신규사업으로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과 전고체 배터리 장비 개발사업을 추진 중이다.

2. 매출

주요제품 매출구성
2차전지 조립공정 100.00%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5% 증가, 영업손실은 108.9% 증가, 당기순손실은 83.3% 증가했다.

전기차 폐배터리 사업은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인 ‘2025년 전기차 누적 보급대 수 300만대’ 계획에 맞춰 추진하고 있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전고체 배터리 장비 개발에도 진행 중이다.

향후 전고체 배터리 조립라인 공정에도 디에이테크놀로지 주력제품인 노칭 및 스태킹 장비를 개조한 장비가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연구기관인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과 전고체전지 기반 자유변형 2차전지 제조기술 MOU를 체결했다.

미국 전기차 배터리 기업으로부터 전고체 배터리 관련 장비 개발을 문의받아 전극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디에이테크놀로지 종목분석 바로가기

6. 이브이첨단소재 (KOSDAQ:131400)

1. 기업 개요

여섯 번째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이브이첨단소재’다.

전고체 배터리 제조업체 지분 투자

2004년 설립되어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Circuits Board)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한다.

LG전자, LG이노텍, LG디스플레이 등 LG계열과 관계 유지를 지속하고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매출구성
양면 연성회로기판 88.08%
단면 연성회로기판 6.10%
ACTVISION 2.32%
ACTVISION 기타 1.39%
기타 2.11%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1% 증가, 영업손실은 97.7% 감소, 당기순이익은 흑자전환했다.

LG계열향 매출 의존도가 높아 안정성이 있다. 신규고객사 매출비중을 늘리는 노력을 하고 있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2021년 전고체 배터리 전문 제조회사인 프롤로지움에 850만달러의 투자를 진행했다.

프롤로지움은 2012년부터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하며 IT기기용 제품을 납품 중이고, 현재 대용량 전기차용 전고체배터리를 개발 중인 대만회사다.

현재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에게 샘플 셀을 제공하고 있다.

독일 다임러그룹, 대만 고고로, 중국 니오, 베트남 빈패스트 등과 협력 중이다.

이브이첨단소재 종목분석 바로가기

7. 아바코 (KOSDAQ:083930)

1. 기업 개요

일곱 번째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아바코’다.

고체 전해질을 고속으로 증착하는 공정 및 장비 개발.

LCD 및 차세대 디스플레이 OLED용 평판디스플레이(FPD) 장비를 생산한다.

기존 디스플레이 제조 장비 외에 반도체, 2차전지, MLCC 장비로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매출구성
자동화 시스템 51.39%
전용기부문 23.52%
진공부문 9.75%
컨버팅머신 8.10%
기타 7.24%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9% 증가, 영업손실은 1060.3% 증가, 당기순이익은 적자전환했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 대응하기 위한 장비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LG에너지솔루션과 GM의 합작사인 얼티움셀즈가 미국에 2차전지 공장을 건설하고 있는데 아바코가 장비를 납품하고 있다.

아바코 종목분석 바로가기

8. 대주전자재료 (KOSDAQ:078600)

1. 기업 개요

여덟 번째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대주전자재료’다.

전기·전자 재료분야 및 리튬 2차전지용 실리콘 음극재 전문업체

전자부품용 소재를 종합적으로 개발, 제조, 양산할 수 있는 전자재료 전문기업이다.

생산 제품들은 스마트폰, 노트북 등에 사용되는 칩부품용 전극재료와 LED용 형광체, AMOLED 재료, 태양전지용 전극재료, 2차전지 음극재료 등이 있다.

LED용 형광체는 LG화학 형광체 사업부를 인수해서 세계 2위의 생산능력을 확보했다.

2. 매출

주요제품 매출구성
전도성페이스트 42.90%
형광체 12.52%
나노 12.33%
고분자재료 11.70%
기타 20.55%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 증가, 영업이익은 71.2% 감소, 당기순이익은 적자전환했다.

차세대 실리콘계 음극재로 초기효율과 방전용량이 개선된 제품을 개발 중이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21년 한국전기연구원(KERI)으로부터 황화물계 전고체 전지용 고체전해질 공침 제조기술을 기술이전 받았다.

고체 전해질 양산 제조시설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전고체전지용 리튬 금속 음극을 대체할 수 있는 실리콘 소재를 개발해서, 전고체전지 시장을 선도한다는 목표다.

대주전자재료 종목분석 바로가기

9. 이수스페셜티케미컬 (KOSPI:361610)

1. 기업 개요

아홉 번째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는 코스피 주식 종목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이다.

황화물 고체 전해질 개발 및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 원료 '황화리튬' 양산

2023년 이수화학의 정밀화학 및 전고체전지소재 사업부문을 인적분할하여 설립되었다.

주요 생산품목 중 분자량 조절제(TDM, NOM/NDM)는 국내 유일의 생산업체다.

2. 매출

주요제품 매출구성
정밀화학제품 99.83%
기타 0.17%

2023년 5월 설립 이후 매출액 847억원, 영업이익 41억원을 달성했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2020년부터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핵심기술 개발에 대한 국책 과제에 참여했다.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용 원료 저가화 기술을 연구해서 황화리튬 기술을 개발했다.

210억원을 투자한 황화리튬 데모플랜트를 완공했다.

선제적 개발이 이뤄진 만큼 삼성SDI와의 협업 가능성도 높게 점쳐진다.

이수스페셜티케미컬 종목분석 바로가기

10. 레이크머티리얼즈 (KOSDAQ:281740)

1. 기업 개요

열 번째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는 코스닥 주식 종목 ‘미코’다.

전고체 배터리용 황화리튬(Li2S) 소재 개발 완료.

국내 유일 TMA 제조 가능 업체다.

유기금속화합물 설계 및 TMA 제조기술을 기반으로 LED, 반도체, 디스플레이, Solar 소재 및 석유화학 촉매로 이어지는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다.

2. 매출

주요제품 매출구성
반도체 소재 53.61%
Solar 소재 31.86%
석유화학촉매 9.04%
LED 소재 4.94%
기타 0.55%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4% 감소, 영업이익은 19.5% 감소, 당기순이익은 4.1% 감소했다.

배터리의 핵심인 황화리튬을 고가 원재료 없이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개발에 대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3. 실적 및 주가 전망

자회사 레이크테크놀로지(지분 70.6%)를 통해 전고체 배터리용 황화리튬 관련 기술 및 공정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세종2공장에 140억원을 투자해 전구체 시설 투자를 진행했다.

생산 라인 증설 완료로 황화리튬 생산능력을 기존 연 10톤에서 연 120톤으로 확대했다.

레이크머티리얼즈 종목분석 바로가기

요약 및 결론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식 종목 리스트

  1. 덕산테코피아 (KOSDAQ: 317330) – 대장주
  2. 동화기업 (KOSDAQ: 025900)
  3. 레몬 (KOSDAQ: 294140)
  4. 미래컴퍼니 (KOSDAQ: 049950)
  5. 디에이테크놀로지 (KOSDAQ: 196490)
  6. 이브이첨단소재 (KOSDAQ: 131400)
  7. 아바코 (KOSDAQ: 083930)
  8. 대주전자재료 (KOSDAQ: 078600)
  9. 이수스페셜티케미컬 (KOSPI: 361610)
  10. 레이크머티리얼즈 (KOSDAQ: 281740)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식: 대장주 선정 이유

💡덕산테코피아: 무분리막 전극일체형 전고체 배터리 개발. 전고체 배터리 관련 이슈에 제일 먼저 반응.

그 외 종목: 메가터치, KBG, 석경에이티, 필에너지, 아이엘사이언스, 원준

전고체 배터리 외 2차전지 관련주식 테마 더보기


관련 테마주는 변동성을 보고 단기 차익을 노리는 경우가 많다.

시가총액이 큰 기업보다는 작은 기업이 대부분이다.

뉴스나 이슈 흐름을 보고 시기에 맞게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식이나 테마주를 바로 떠올릴 수 있으면 주식으로 큰 수익을 볼 수도 있음을 명심하자.

주식유니버스 새글 알림받기!

국내/해외 주식 종목 분석, ETF 정보를 한번에

네이버 밴드 알림받기

워렌 버핏 50% 수익 투자 방법

중소형주로 주식 투자 성공하기

관련주·테마주 종목 더보기

특정 회사나 테마에 따라 같이 움직이는 주식

미국주식 종목 더보기

나스닥(NASDAQ) | 다우존스 | S&P 500

급등주 확인

초보자를 위한 주식 거래 가이드

주식 시장의 기초부터 용어 정의까지 모든 정보

author

필명: 모아이(Moai)

주식 유니버스 편집장

주식, ETF, 경제 및 산업 동향에 대해 분석한 후, 알고 있는 것과 배우고 있는 것에 대해 글을 쓰고 있습니다. 투자 성공에 도움이 될 만한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공유합니다.

공유조항: 콘텐츠는 자유롭게 퍼가시고, 꼭! 출처와 함께 링크 주소를 남겨주세요.

면책조항: 본 콘텐츠는 투자를 유도할 목적이 아니라, 투자자의 판단에 참고할 수 있는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 최종결정은 투자자 자신의 판단으로 하시기 바랍니다.